[Insty] 인프라 구성도 및 파이프라인 설계 의도(지속 수정)
·
Project/Insty
Insty 전체 아키텍처의 인프라 구성도이다. 1. 외부 진입(DNS, SSL)Route 53: insty.ai.kr 과 같은 도메인에 대한 호스팅 존.이때 레코드를 설정하게 되는데 크게 A / NS / SOA / CNAME으로 나눌 수 있다. ANSSOACNAMECloudFront의 배포 도메인(AWS에서 자동 지정)개발/스테이징 환경을 위한 별도 CloudFront 배포가 있다는 것을 의미.AWS 네임서버 정보Route53에서 발급해 준 네임서버 주소들로 전세계의 DNS가 해당 네임서버를 먼저 질의하게 됨.호스팅존의 기본 설정(갱신주기, 네임서버 권한 등)자동으로 생성되는 레코드로 직접 건드릴 일은 없음.ACM의 인증서 검증용 자동 레코드HTTPS 통신을 위한 SSL/TLS 인증서를 의미. ACM은 ..
[Cloud] SaaS, IaaS, PaaS
·
Cloud
클라우드에 대해 공부하기 전에 이 3가지 개념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고객사에게 문의를 받게 되면 기존 온프레미스 인프라를 클라우드 환경으로의 전환, 구축에 대한 문의를 받게 된다.하지만 개념이 정확하게 잡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생각이 들어 정확한 개념 정리를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모두가 정의하는 것이 다르겠지만 나같은 경우는 클라우드를 "IT 물리 자원을 구매할 필요없이 IT자원을 필요한만큼 빌리고 사용한만큼만 값을 지불하는 서비스"라고 정의하고 싶다. 당연히 비용효율이 높아지고 확장성, 유연성도 올라간다.별도 물리 장비 설치에 힘을 쓰지 않아도 되고 마우스 딸깍질 몇 번이면 나의 서버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렌탈" 기능 뿐만 아니라 요..
[AWS] AWS-SAA 공부 방법 및 취득 후기
·
자격증/AWS
8.10 AWS-SAA 자격을 취득했다.공부기간은 약 40일? 정도 됐던 것 같다. 단순 보여주기식으로 자격을 취득하려는 것이 아닌, 실제 AWS 아키텍처 설계 역량과 제공되는 서비스들에 대해 습득을 해보고 싶었기 때문에 실습도 병행했다. 1. Udemy 온라인 강의 (도움정도 上 )여타 다른 분들과 다를 거 없는 공부 방법을 채택했다.https://www.udemy.com/ 공식적인 한국어지원 강의이기 때문에 자막 번역이 아주 잘 되어있다. 다만, 강의량이 워낙 많기 때문에 실습까지 병행한다면 나처럼 굉장히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음 ㅋㅋ.. 따라서, 빠르게 자격 취득을 원하는 분들은 재생속도를 높여 빠르게 듣는 걸 추천한다. 2. 덤프문제AWS는 워낙 글로벌한 CSP이기 때문에 덤프문제가 아주..
[정보처리기사] 비전공자 필기 합격 후기
·
자격증/정보처리기사
아직 CBT 시험 특성 상 시험 종료 후 바로 결과가 나오기 때문에 합격이라는 것은 알지만 공식적으로는 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태이다.3월 중순에 결과가 나오니 그때 첨부하도록... 우선 나는1. 소프트웨어 설계 652. 소프트웨어 개발 753. 데이터베이스 구축 704. 프로그래밍언어 활용 705.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 70 으로 총점 70 합격이었던 것 같다. 아마도..?  우선 나는 비전공자이지만, 이 전에 SQLD, ADsP를 취득한 상태였기 때문에 3과목은 정말 쉬웠다.또한, 개발 교육 이수 경험도 있었고 컴활 1급을 취득하며, CBT시험에 대한 공부법도 나름 알고 있었기 때문에 다른 비전공자 분들에 비해서는 조금은 유리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전공자가 당연히 유리할 것으로 보여졌다...
[정보처리기사] 필기 총정리
·
자격증/정보처리기사
https://m.blog.naver.com/wook2124/222102990691 본 정리 글은 정보처리기사 시나공과 수제비 필기..." data-og-host="blog.naver.com" data-og-source-url="https://m.blog.naver.com/wook2124/222102990691" data-og-url="https://blog.naver.com/wook2124/222102990691" data-og-image="https://blog.kakaocdn.net/dna/bRMY7c/hyYccPcDWY/AAAAAAAAAAAAAAAAAAAAAJSlaMuS3dORE-wb2qskQU-RvlF995X_R9dIKWWj3o3o/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1922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20ZmMWuQqr8JP6CdcE3QfOlOOQE%3D 정보처리기사 필기 총정리 (시나공, 수제비)..
[Spring] Scheduled 어노테이션
·
Spring
@Scheduled해당 어노테이션을 활용하면 일정 시간 간격 혹은 특정 시간에 원하는 메소드를 실행하도록 해주는 어노테이션이다. 사용법나같은 경우에는 실제로 원하는 디렉토리의 파일들을 최종 수정시간과 현재 시간을 비교하여 특정 시간만큼 차이가 나면 삭제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만들어야 했다. 우선 @Scheduled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Application 파일에 @EnableScheduling 를 추가해줘야 한다.(나 Scheduled 쓴다~ 하고 선언하는 것) 그리고는 @Scheduled를 적용할 클래스를 만드는데@Componentpublic class FileClean { @Scheduled(fixedRate = 60 * 60 * 1000) // 1시간마다 실행 public void run() {  ..